서울산업진흥원은 "기술과 역량을 갖춘 고졸자들이 시설운영이라는 직군에 국한되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한다"라고 말한다. 특성화된 기술과 역량을 갖춘 고졸자들이더라도 직업을 선택하는 데 있어 한계가 있다. 특별 채용으로 취업이 되지 않는 한 대졸자와 경쟁하기엔 쉽지 않다. 고졸자가 취업을 쉽게 할 수 있는 곳은 시설관리 직종이다. 이 직업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목차
1. 현실
2. 시설관리직
3. 월급
4. 하는 일
1. 현실
공기업 생산직의 경우 대졸 이상이 아닐 경우 지원하지 못하는 기업이 많다. 대기업 또는 공기업에 취업하기 위해서는 특별 채용으로 지원한다. 이런 식으로 고졸자들은 거의 생산직에 들어간다. 한국 사회에는 여전히 생산직이나 기술직을 경시하는 경향이 있지만, 급여와 복리후생 면에서 나쁘지 않다. 기업은 생산직 직원과 공존해야 한다.
고졸자는 대졸자보다 취업이 힘든 건 사실이다. 또한 임금 격차로 이어졌다. 이 부분은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대학에 힘들게 입학한 보상이며, 사회에서 경쟁하여 이룬 결과라고 본다. 만약, 이 부분에서 불만을 품는 고졸자가 있다면 비정상적인 사고를 갖고 있다고 본다. 통계를 보면 판매업에서는 대졸자보다 고졸자가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교육서비스업은 대졸자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을 하더라도 회사 생활이 성실하지 않으면 오랫동안 다닐 수 없다. 어느 직장이든 마찬가지이다. 고등학교 졸업장으로 이 사람을 판단할 수 있는 건 출석기록부이다. 취업할 때 가산점이 되며, 생활기록부에 무단결석이 많을 경우 면접관이 서류를 더 이상 볼 필요가 없을 것이다. 기능직은 생활기록부보다 자격증을 더 중시한다. 생활기록부가 엉망이라면 자격증을 취득하여 기술직 회사에 입사하는 게 최선의 선택이다.
2. 시설관리직
20대 초반에 아르바이트하는 것보다 회사 생활을 하는 게 낫다고 생각한다. 20대 초반 군대를 전역하고 사회에 나오면 취업할 곳이 마땅히 없다. 기술 분야의 자격증을 취득하여 취업하는 경우도 있지만, 시설관리 직업은 자격증이 없어도 취업은 할 수 있다. 취업 후 자기 계발을 하여 자격증을 취득하고 더 나은 환경으로 이직하는 게 좋다.
특성화 고등학교에서는 취업 목표로 학생들에게 자격증을 하나라도 취득하라고 권유한다. 학교는 취업률을 높이는 게 성과이기 때문에 필수 자격증 공부를 가르친다. 전기학과 또는 소방학과는 소방 관련 자격증이나 전기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게끔 커리큘럼으로 진행된다.
Q. 저는 고등학교 졸업생이고, 전기 자격증이 없습니다. 취업 후 자격증을 취득하고 싶은데, 시설 관리 업종에 취업이 가능할까요?
A. 취업할 수 있습니다. 공기업 또는 대기업 시설관리 회사에 입사는 불가능하다고 보면 됩니다. 인맥이 없다면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에 있는 건물이 현장이며 일할 수 있는 곳이 분명히 있을 것입니다. 더군다나 나이가 어리다면, 성실하게 할 마음이 있다면 '고졸'이어도 취업은 가능합니다.
3. 월급
2023년 대한민국 최저 시급은 9,620원이며, 근무시간 209시간으로 계산하였을 때 월급은 2,010,580원이다. 아르바이트를 할 경우 일한 만큼의 급여를 받게 되는데, 회사원은 상여금 또는 휴무일은 쉰다는 장점이 있다. 고졸 취업이 쉽지 않지만, 시설관리직에 종사하는 건 쉽다고 생각한다. 성실하게 배우고 싶은 열정만 있으면 다닐 수 있다. 나이가 많다고 해서 개념이 있는 건 아니다. 본인 나이 많다고 윗사람에게 제대로 대우 안 하려는 인간들도 많다. 성과제가 아닌 회사에서는 성실한 게 그 사람의 능력이라고 생각한다.
물가는 계속 상승하고 내 월급은 오르지 않는다는 말을 자주하곤 한다. 20대 초반 남자가 월급 300만 원 이상 벌 수 있는 환경에서 일한다는 건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물론 대학교 졸업 후 군대 전역한 사람이 20대 후반에 대기업에 입사할 경우 더 많은 연봉을 받겠지만, 20대 초반부터 연봉 3,600만 원 이상 벌면서 자기 계발하기 좋은 직업이라고 생각한다. 시설관리직은 초보자여도 월급은 250~300만 원 이상 받게 된다.
'직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에서 할 수 있는 부업[티스토리] (1) | 2023.02.15 |
---|---|
회사에서 도망치고 싶다 (0) | 2023.02.14 |
직장생활 힘들다면 퇴사가 정답일까? (0) | 2023.02.14 |
퇴사 통보 기간 지키면서 이직 준비하기 (0) | 2023.02.12 |
은퇴 후 기술직 자격증 추천 (0) | 2023.02.11 |